2025년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계산법과 감경 혜택

노년기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이나 가족들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가 바로 장기요양보험이에요.
하지만 장기요양보험을 이용하다가보면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이죠.
2025년 기준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계산법, 감경대상 기준까지 꼭 필요한 정보만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이란?
2. 2025년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계산법
3. 감경 대상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1.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이란?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은 요양인정등급을 받은 수급자가 요양서비스나 복지용구를 이용할 때, 국가가 일정 부분을 지원하고, 나머지를 본인이 부담하는 금액을 말해요.
장기요양보험에서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는 급여 종류에 따라 본인부담금 비율, 감경 혜택, 기준이 달라요.
[장기요양보험 급여별 본인부담금 및 감경 혜택]
구분 | 일반 본인부담금 | 감경대상자 본인부담금 | 기초생활수급자 본인부담금 |
---|---|---|---|
재가급여 | 15% | 40% 감경대상자 : 9% 60% 감경대상자 : 6% | 0% |
시설급여 | 20% | 40% 감경대상자 : 12% 60% 감경대상자 : 8% | 0% |
※ 재가급여 :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등 포함
※ 시설급여 : 요양원, 요양병원 등 포함
2. 2025년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계산법
계산은 아주 간단해요. 급여 비용과 본인부담비율만 알면 계산할 수 있어요.
급여 비용 × 본인부담 비율 = 실제 본인부담금 |
[재가급여 예시 본인부담금]
아래본인부담 비율에 예를 들어, 일반대상자 어르신이 100,000원짜리 안전손잡이를 구매할 경우(재가급여 해당)
'급여비용 100,000원 x 일반 본인부담금 15%'으로 계산하여 15,000원을 본인부담하면 되죠.
구분 | 본인부담 비율 | 실제 본인부담금(예시) |
---|---|---|
일반대상자 | 15% | 15,000원 |
40% 감경대상자 | 9% | 9,000원 |
60% 감경대상자 | 6% | 6,000원 |
기초생활수급자 | 0% | 0원 |
[시설급여 예시 본인부담금]
시설급여도 동일하게 예를 들어, 일반대상자 어르신이요양시설에서 100,000원을 이용한 경우(시설급여 해당)
'요양시설비용 100,000원 x 일반 본인부담금 20%'으로 계산하여 20,000원을 본인부담하게 된답니다.
구분 | 본인부담 비율 | 실제 본인부담금(예시) |
---|---|---|
일반대상자 | 20% | 20,000원 |
40% 감경대상자 | 12% | 12,000원 |
60% 감경대상자 | 8% | 8,000원 |
기초생활수급자 | 0% | 0원 |
3. 감경 대상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장기요양보험의 본인부담금 감경 대상자 기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에 관한 고시」에 따라 정해져요.
감경 대상자는 건강보험료 수준과 재산 과세표준액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감경률은 60% 또는 40%로 구분된답니다.
장기요양 감경 혜택은 어르신의 건강보험료 순위, 소득, 재산 등을 기준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 심사해요.
[장기요양 감경대상자 신청 절차]
-. 경감대상자(40~60%) : 별도로 감경대상자로 신청하지 않아도, 장기요양보험 신청을 할 때 자동적용돼요. 장기요양보험 신청과정에서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재산 과세표준 등을 참고하여 정해져요.
-. 기초 생활수급자 :수급자 등록이 주민센터에 적용 되어 있어야 해요.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은 어르신과 가족에게 실제로 부담이 될 수 있는 부분이지만, 감경 혜택과 기준을 잘 알고 신청 절차만 챙긴다면 큰 도움이 돼요.
2025년 기준 본인부담금 계산법과 감경 대상, 신청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보았어요, 꼭 필요한 순간에 잘 활용해보시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