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무단횡단, 한번으로 큰 사고로 이어져요.

얼마 전, 4차선 도로 앞에서 믿기 어려운 장면을 목격했어요.
신호도 없는 구간, 횡단보도도 아닌 곳에서 한 할머니가 가드레일을 넘어 도로를 건너기 시작하셨죠.
"설마..." 하는 순간, 예상대로 오토바이와 부딪히고 말았어요.
놀라 달려갔지만, 할머니는 절뚝이며 '괜찮다'고 하시곤 가던 길을 계속 가셨고, 오히려 오토바이 운전자가 충격에 주저앉아 있었습니다.
이처럼 무단횡단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심각한 위험을 안기는 선택이에요.
특히 반응 속도가 느려지는 어르신들의 경우,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더 높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경기남부경찰청에서 진행 중인 '어르신 무단횡단 예방 캠페인’을 통해 왜 이 문제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지, 그리고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함께 알려드릴게요.
경기남부경찰청 YouTube : 횡단보도에서 시작되는 교통안전 런웨이

1. 어르신 무단횡단, 얼마나 심각할까?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안타까운 사실이 있어요. 매해 노인보행자 교통사고가 늘어난다는 부분이죠.
연도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2020년 |
9,739 |
628 |
9,233 |
2021년 |
9,893 |
601 |
9,423 |
2022년 |
10,435 |
558 |
10,016 |
2023년 |
10,921 |
550 |
10,529 |
2024년 |
11,301 |
616 |
10,861 |
*출처 :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
작년 한 해 동안 약 1만 1천 건의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했고, 그 중 616명의 어르신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어요.
하루 평균 약 31명의 어르신이 보행 중 사고를 당했고, 그중 약 2명이 사망한 셈이죠.
연도 |
사고(건) |
사망(명) |
부상(명) |
2024 |
5,757 |
244 |
5,622 |
*출처 :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
횡단보도 밖에서도 사고가 끊이지 않는데요,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고만 해도 한 해 동안 약 6천 건에 달해요.
2. 어르신 무단횡단 교통사고가 일어나는 이유는?
어르신들이 무단횡단을 하는 이유는 2가지로 나뉘어요.
① 신체 기능, 인지력 및 판단력 저하
-. 시력, 청력 저하로 멀리서 오는 차량이나 신호 변경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 치매 초기 증상, 또는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로 신호나 교통 흐름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했을 때
② 습관화된 무단횡단
-. "늘 이 길로 다녔어, 그동안 아무 일 없었어.”등의 반복된 경험으로 습관적 무단횡단
-. 차가 안 오면 건너도 된다는 인식
3. 어르신 무단횡단 방지를 위한 캠페인은?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르신 교통안전 문화 개선’이라는 주제로 캠페인을 진행중이에요.
전체 보행자 교통 사망사고 중 어르신 비율이 높고, 특히 무단횡단 사고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죠.
[영상 바로 확인하기]
"나는 괜찮아, 늘 이 길로 다녔어.”
"차 없을 때는 건너도 되잖아.”